티스토리 뷰

1. pwd (print working dierctory) :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정보 출력

$ pwd

 

 

2. cd (Change directory) : 경로이동, 상대 경로, 절대 경로 이동 가능

$ cd ..
$ cd /home/test/work

 

3. ls (list)

-- $ ls [옵션] [파일/디렉토리]
-l : 파일들을 나열할때 자세히 출력한다.
-a : 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.(숨김파일도 포함)
-R : 위치한 디렉토리 하부 디렉토리의 파일까지 모두 출력한다.
-h : 파일크기를 해석파기 편하게 출력한다.
-r : 출력 결과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.
-t : 출력 결과를 파일이 수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정렬한다.

$ ls
-l 파일에 대한 정보를 자세하게 보여준다. 사용자의 권한, 소유자 그룹, 크기, 날짜 등을 자세하게 보여준다. 
$ ls -l

-a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보여준다. all
$ ls -a

-h -l에서 지정한 크기 등을 사람이 읽기 쉽게 변환하여 보여준다. humanize
$ ls -alh

- 찾아볼때
$ ls *.txt
$ ls *0102.java*

- 나는 이렇게 많이 씀
$ ls -lrt *.java*

 

4. cp(copy) : 파일 혹은 디렉토리 복사 ( 디렉토리 복사 시 -r 옵션줘야됨)

$ ls
testdir/  testfile

$ cp testfile1 testfile_cp
$ ls
testdir/  testfile  testfile_cp

$ cp -r testdir testdir_cp
$ ls
testdir/  testdir_cp/  testfile  testfile_cp

 

5. head, tail (자주사용)

- head : 파일의 앞부분을 보고싶은 줄 수만큼 보여준다.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파일 상위 10줄을 보여준다.

- tail : 파일의 뒷부분을 보고싶은 줄 수만큼 보여준다.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파일 하위 10줄을 보여준다.

=> 실시간 로그 추가될때 tail  -5000f  '파일이름' 이렇게 많이씀 ( 하위 5000줄부터 실시간으로 보겠다는 뜻)

$ tail -5000f something.java

 

6. find *

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검색한다

사용법이 앞의 명령어들에비해 살짝 복잡하므로, 기본 사용법을 언급하자면 다음과 같다.

find [검색경로] -name [파일명]

확장자명으로 검색할때 자주사용함. 

$ ls
dir1/  dir3/  file1  file3  picture1.jpg  picture3.jpg
dir2/  dir4/  file2  file4  

$ find ./ -name 'file1'
./file1

$ find ./ -name "*.jpg"
./picture1.jpg
./picture3.jpg